‘스타친구’ ‘무료 게임아이템’… 이러한 인터넷함정이 당신의 아이를 노릴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최근, 여러 지역에서 중소학생들이 사기당한 사건이 발생했는데 손실이 수백원에서 수만원에 이른다. 현재의 AI 기술은 이미 친숙한 사람의 목소리와 외모를 실시간으로 위조할 수 있으며 심지어 가족도 진위를 구별하기 어렵다.
AI 사기 업그레이드, 왜 아이들이 가장 위험할가?
사회경험이 부족하고 ‘복리’, ‘당첨’ 등 말에 쉽게 속으며 온라인게임 거래에 중독거나 생체인식정보(지문, 얼굴)에 대한 보호의식 부족 등이 아이들이 전자사기에 쉽게 로출되는 주요요인이다.
중소학생들은 신기술로 인한 이러한 전자사기수단에 대한 방어능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기에 쉽게 다른 사람을 믿고 전자사기사건의 피해대상이 된다.
부모가 반드시 해야 할 일: 세가지 안전방어선으로 ‘방화벽’ 구축해야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사기군들도 끊임없이 새로운 사기수법을 개발하고 있다. 아이들이 사기를 방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부모의 첫번째 책임이다. 이에 따라 부모는 반드시 세가지 방어선을 지켜야 한다.
방어선 1: 결제 취약점 차단
무비번 결제 기능 해제: 게임, 위챗, 알리페이 모두 결제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한다.
전용계좌 개설: 아이에게 저한도 은행카드를 따로 개설해주어야 한다.
정기적인 계좌 조회: 매주 아이의 계좌 내역을 확인하고 이상 발견시 즉시 동결해야 한다.
방어선 2: 일상적인 사기반대 훈련
모의테스트 진행: 뉴스사례를 활용해 질문하기. (례: “친구가 게임아이템을 준다고 하는데 배송비를 먼저 내야 한다면 어떻게 할가?”)
사기반대 암호 약속: 아이와 ‘송금전 반드시 암호 확인’할 것을 약속하기. (례: 가족만 아는 비밀단어)
신고교육 진행: 아이에게 ‘12321 네트워크 불량 및 스팸정보 신고 센터’를 통해 사기 관련 단서를 신고하는 방법 교육을 진행하기.
방어선 3: 디지털 신원 관리
프로필/ID 프라이버시 설정: 소셜플랫폼에서 자신의 실제 사진이나 학교로고 사용 금지.
생체정보 보호: 아이가 지문이나 얼굴인식(특히 불필요한 앱)을 함부로 등록하지 않도록 주의시켜야 한다.
암호등급 관리: 게임계정 암호 ≠ 결제 암호 ≠ 소셜계정 암호
아이에게 이 네가지 고위험정보를 절대 말하지 않도록 가르쳐야
학교주소/교복사진→‘픽업증명’으로 위조될 가능성이 있다.
부모 휴대폰번호→‘아이 부상’ 련쇄사기에 로출되기 쉽다.
게임계정암호→해킹당하면 친구들에게 사기링크를 대량 발송할 수 있다.
신분증사진→대출앱 등록에 악용되여 ‘돈세탁’사기에 리용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