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6년 10개월만에 최저…38딸라도 붕괴
2015년 12월 08일 10:00【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원유생산감축에 합의하지 못한 여파가 이어지면서 국제유가가 2009년 2월 이후 최저수준으로 추락했다.
7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2016년 1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보다 2.32딸라(5.8%) 떨어진 배럴당 37.65딸라에 마감했다. 이는 2009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런던 ICE 선물시장의 1월 인도분 브렌트유도 2.29딸라(5.3%) 내린 배럴당 40.71딸라 선에서 움직이고있다.
브렌트유도 WTI와 마찬가지로 2009년 2월 이후 6년 10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날 국제유가는 지난 4일 OPEC이 생산량을 줄이자는 합의에 실패한 영향을 받았다.
OPEC은 공급과잉현상때문에 국제유가가 하락하고있는데도 지금의 생산량을 유지하기로 했다.
OPEC은 스스로 1일 생산한도를 3000만배럴로 정했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150만배럴 가량을 더 생산하고있다.
OPEC이 감축에 합의하지 못한데 따라 다음 회의가 열리는 래년 6월까지는 현재의 생산량이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공급과잉이 당분간 해소되지 않을것이라는 해석으로 이어져 원유에 대한 투자를 줄였다.
미국 련방준비제도가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커졌다는 판단에 따라 딸라강세가 이어진것도 원유가격의 약세를 이끌었다.
원유는 딸라로 결제되기때문에 딸라의 금리가 오르면 딸라 이외의 화페를 가진 투자자의 구매여력은 약해진다.
금값은 딸라강세의 영향으로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