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자본 순수출국" 자리 매김…대외투자 세계 첫 2위
2016년 09월 23일 16:38【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중국이 지난해 일본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처음으로 대외투자가 많은 나라 2위에 올랐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은 중국자본의 해외진출(走出去)이 활발히 이뤄진 덕분으로서 중국은 자본 순수입국에서 자본 순수출국으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이다.
신화통신과 중국경제넷은 23일 지난해 중국의 대외직접투자(ODI) 규모는 전년 대비 18.3% 증가한 1456억 7000만딸라로서 력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상무부와 국가통계국, 국가외환관리센터가 공동 발표한 통계를 인용해 보도했다.
"2015 중국 대외직접투자통계 공보"를 보면 대외직접투자 금액 기준 중국은 미국(2999억 6000만딸라)에 이어 전세계 2위에 처음으로 등극했다. 3위인 일본은 1286억 5000만딸라를 기록해 중국에 뒤졌다.
지난 2002년만 해도 전세계 대외직접투자 총액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0.4%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9.9%까지 확대됐다. 글로벌시장에서 "차이나 머니"의 공세를 실감케 하는 대목이다. 이 기간 중국의 대외직접투자는 13년 련속 년평균 36%의 증가세를 유지했다고 중국경제넷은 분석했다.
중국의 대외직접투자가 눈덩이처럼 부푼데는 민영기업으로 대표되는 비공유경제와 정부의 일대일로(一帶一路 ·륙상 및 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 등 크게 두가지 요인에서 답을 찾을수 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비공유경제가 전체 대외직접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5.3%에 달했다. 특히 중국의 민영기업이 투자지역뿐만 아니라 분야에서도 끊임없이 해외 인수합병(M&A)을 시도하면서 중국경제의 개혁 ·개방을 이끌고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민영기업 대외직접투자의 80%는 해외기업에 쏠렸으며 비공유경제 집단의 M&A 건수와 금액 모두 처음으로 공유경제(국영기업)를 넘어섰다.
중국정부가 중점을 두고 추진하는 일대일로와 관련한 투자도 한축을 담당하고있다. 지난해 일대일로 연변의 60여개국에서 이뤄진 대외직접투자 금액은 189억 3000만딸라로서 전년보다 38.6% 급증했다. 일대일로의 연변국은 중국기업들의 해외진출의 주요대상으로서 중앙 국유기업이 곳곳에 지사를 설립하고 고속철과 같은 인프라와 석유 ·가스 개발사업 등 분야에서 합작을 추진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