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정부 서남제도 방위능력 강화 계획
오끼나와에 전투기부대 증강
2013년 12월 12일 09:21【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일본정부가 11일 작성한 "중기방위력정비계획" 개요에는 자위대가 서남제도의 경계감시와 방공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신형의 조기경보기와 무인정찰기를 도입할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됐다.
개요는 다음과 같다. 륙상자위대는 통일지휘계통의 "륙상총대"와 수륙 량용 부대를 신건하고 오끼나와현과 나하섬에 해안감시부대를 배치하며 수직으로 리착륙할수 있는 비행기를 인입하고 해상자위대의 이지스호위함 수량을 6척으로부터 8척으로 늘여 각기 4개 호위함편대에 2척씩 배치하며 항공자위대는 오끼나와현 나하기지에 E2C조기경보기부대를 새롭게 편성하고 F-15 전투기 부대를 1개 비행대에서 2개 비행대로 늘인다.
이날 일본수상 아베 신조가 설립한 안보론의 전략기구 "안전보장과 방위능력 관련 간담회"는 회의를 소집하고 국가안전보장전략개요와 새로운 "방위계획대강"개요를 비준했다.
아베는 회의에서 국가안전보장전략과 새로운 "방위계획대강"은 앞으로 일본안전보장정책을 결정하는 력사적인 문서가 될것이라고 지적했다.
국가안전보장전략 개요는 중국이 "센가꾸제도"(중국의 조어도 및 그 부속섬)에 "침입"하고 동해방공식별구역을 설정한데 비추어 일본은 해양질서를 수호하는 령역에서 주도적인 역학을 발휘할것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방위계획대강"개요는 자위대가 경상적인 경계와 감시 체제를 구축해 일본주변의 해역과 공역의 안전을 확보할것이라고 밝혔다.
일본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일본정부는 17일 내각회의를 소집하고 "중기방위능력정비계획", 국가안전보장전략과 새로운 "방위계획대강"을 채택한다.
2010년 12월, 일본정부는 안전보장회의를 소집하고 향후 5년 자위대 인원편제와 장비수량에 대한 "중기방위능력정비계획"을 비준했다. 그뒤 일본정부는 또 향후 10년 방위능력정비에 관한 "방위계획대강"을 통과했다. "대강"은 서남해역의 방위능력과 경계감시강도를 중점적으로 높이고 과거의 "기초방위력구상"을 개변하여 "기동방위력구상"을 대체할것을 강조했다.
올해 1월 25일, 일본정부는 내각회의를 소집하고 기존 "방위계획대강"과 "중기방위능력정비계획"을 개정하기로 결정했다. 그뒤 집권당인 자민당은 새로운 "방위계획대강"제안을 확정하고 "완강한 기동방위능력"을 건설해 현재의 "기동방위능력"을 대체할것을 주장했다(신화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