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우리 나라 경제 구조 최적화
2015년 08월 11일 09:57【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국가통계국 수치에 따르면 올 상반기 우리나라 GDP에서 차지하는 제3산업 부가가치 비중이 49.5%로 제고되여 제2산업보다 5.8포인트 높았다. 한편 봉사업은 경제 견인력이 크게 증가돼 7% 경제성장에서 대체할수 없는 작용을 발휘하였다.
우리나라 경제는 또 중고속 성장을 유지하는 한편 성장의 질도 부단히 향상되여 전기사용량은 1.3%밖에 증가되지 않았고 단위 생산액 에네르기 소모량은 5.9% 줄어들었다.
세무부문의 수치도 상술한 변화를 립증해주고 있다. 상반기 금융업 세수는 31.4%의 증가속도를 기록해 세수 성장 견인의 주요 력량으로 작용하고 인터넷과 관련 서비스는 24%, 소프트웨어, 정보기술봉사업은 23.7%의 세수 성장을 이룩하였다.
2013년 처음 제2산업을 뛰여넘어 오늘날 49.5% 비중에 이르기까지 초고속 성장을 해온 봉사업은 경제성장에만 적극적인 영향을 미친것이 아니다. 봉사업은 그동안 구조가 날로 최적화되고 질이 향상되였으며 효과성 증대가 빠르게 진행되고 민생 기반을 잘 다졌다. 상반기 전국 제3산업 신규 등록 기업은 총수의 80.3%를 차지하였다. 봉사업의 강유력한 견인력은 대중 창업에 광활한 천지를 제공하고 우리나라 경제의 취업창출 능력을 효과적으로 높여주었으며 주민들의 소득 성장을 크게 추진하였다.
중국인민대학 국가발전전략연구원 류원춘 집행원장은 새로운 정세하에 성장의 질 향상과 효과성 증대에 중시를 돌려야 하고 일자리를 더 많이 제공하며 더 나은 환경을 마련하고 소득을 부단히 늘려야만이 대중들의 획득감이 더 커질수 있다고 표하였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거시적 경제연구원 전문가는 당면 경제성장의 새 동력이 부족하고 기존의 동력이 약화되는 구조성 모순이 날로 더 뚜렷해지고 있지만 경제구조 조정의 최적화 추진세는 변함이 없다고 표하였다. 전문가는 중국 경제의 장원한 안정세를 유지할수 있는 관건은 전환승격을 항구적으로 견지하는것이라고 지적하였다. 전문가는 성장안정에 더 힘쓰는 한편 구조조정에 더 공을 들이고 안정적인 발전세를 잘 다지며 발전의 새 길을 더듬어내고 중고위수준을 향해 정진해야 한다고 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