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부,성희롱과 성폭력 공무원 징계 강화 추진
2013년 05월 29일 09:07【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한국정부가 성희롱이나 성폭력 범죄를 저지른 공무원에 대한 징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28일 한국안전행정부에 따르면 한국정부는 성폭력 범죄를 저지른 공무원에 대해 비위의 정도가 심하지만 중과실이거나, 비위의 정도가 약하지만 고의가 있는 경우 중앙·보통 징계위원회가 내릴 수 있는 최고 징계를 해임에서 파면으로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한국련합뉴스가 전했다.
지금까지 성폭력 범죄는 대상이 미성년자가 아니면 비위의 정도가 심하고 고의가 있는 때에만 파면을 해왔다.
한국안전행정부 관계자는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 파문에 따른 범정부 후속조치 중 하나로, 앞으로 징계위 심사 때 기준 적용을 엄격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안전행정부는 아울러 성희롱, 성매매에 대해서도 비위의 정도가 약하고 경과실이면 최고 처벌수준이 견책이었으나 이를 감봉으로 강화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고 보도는 전했다.
앞서 한국안전행정부가 작년에 국회에 제출한 "부처별 공무원 성범죄 관련 징계현황"에 따르면 성범죄를 저지른 공무원의 62%는 견책이나 감봉 등 경징계를 받았다.
보도에 따르면 2007∼2011년 성매매와 성폭력, 성희롱 등 성범죄와 관련해 한국 국가공무원이 징계처분을 받은 것은 성매매가 80건, 성추행이 42건, 성희롱이 26건 등 모두 164건이었다.
징계처분 류형별로는 경징계인 견책이 64건, 감봉이 38건으로 62%에 달했다. 중징계는 정직 25건, 파면 21건, 해임 15건, 강등 1건 등이였다.
소속 기관별로는 경찰청이 48%인 79건으로 중앙정부기관 중 가장 많았다. 이어 지식경제부가 17%인 28건, 법무부가 9%인 14건으로 뒤를 이었다. 교사와 지방공무원은 집계대상에서 제외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