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근평 “약속대로” 연변 고찰: 신발을 벗고 온돌에 올라가(4)
2015년 07월 17일 12:47【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네번째 행선지: 광동촌 촌민 리룡식의 집
광동촌은 마을 모습이 깨끗하고 도로 량켠에는 꽃이 아름답게 피여있다. "검은 석회를 사용한 소박하고 아늑한" 촌락은 조선족주민의 선명한 특색을 나타냈다. 습근평은 70세가 된 리룡식의 집에 들어섰다. 온돌은 조선족들이 실내에서 활동하는 주요공간이다. 연변지역 조선족집의 온돌은 남다른 풍격을 지니고있는데 부뚜막과 온돌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고있다. 이렇게 하면 더 따뜻하고 위생적이기때문이다.
조선족습관에 따라 습근평은 신발을 벗고 온돌에 올라가 집주인의 생활상황을 알아보았다. 이어 가부좌를 틀고 앉아 촌민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다. 습근평은 처음 조선족집거지에 와서 고찰한다고 하면서 일부 촌민들이 아직도 전통적인 화장실을 사용한다는것을 듣고는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농업현대화행정이 빨라짐과 더불어 새농촌건설도 끊임없이 추진되여야 하는바 “변소혁명”을 진행하여 농촌군중들로 하여금 위생적인 변소를 사용하게 하도록 해야 한다. 기본공공봉사는 더욱 많이 농촌으로 치우치고 로혁명근거지, 소수민족지구, 변강지구와 빈곤지구에 치우쳐야 한다. 습근평총서기는 우리들이 바야흐로 초요사회의 전면적인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있는 가운데 전면적인 초요사회는 하나도 빠뜨려서는 안되고 그 어느 소수민족을 빠뜨려도 안되는바 여러 사람들이 모두 전면적인 초요수준의 삶을 누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배경지식1: 조선족주택풍습
조선족들은 말총식주택에 많이 거주하며 수원과 가까운 곳에 집을 짓는다. 집은 나무로 기둥을 세우고 벽에 흙을 바르고 지붕의 네면은 짚으로 덮는다. 방마다 4개 혹은 5개의 문(창문)이 있으며 실내는 온돌로 되여있고 집으로 들어서면 신발을 벗고 가부좌를 틀고 앉는다. 농촌의 집동쪽 실내에서는 큰 황소를 키우고 울타리에는 소달구지와 쌀을 찧는 절구를 놓는다. 현재 조선족은 많은 변화가 발생하여 기와로 된 집이 점차 많아지고 민족풍격의 실내설계가 점차 줄어들어 모두 현대화로 발전하고있다(자료: 중국넷).
배경지식2: "화장실혁명"
"흙웅덩이 하나 벽돌 두개에 3척 흙벽으로 사면을 막아" 여름이면 구린내가 진동을 하고 파리떼가 모여드는데 이것이 일부 농촌지역의 화장실 진면모이다. 중국농촌환경의 개선은 화장실위생, 생활쓰레기, 오수처리 등이 포함된다. 생활수준이 부단히 제고됨에 따라 화장실조건을 개선하는것도 많은 농촌민중들이 가장 바라는 일중의 하나로 되였다.
최근 중국정부는 지속적으로 농촌지역의 화장실상황을 개선하고있다. 20세기 60년대 애국주의운동을 할 때 전개한 "두가지 관리, 5가지 개조(两管五改)"에서도 화장실개조가 들어있었다. 20세기 90년에 와서 중국은 화장실개조내용을 아동발전계획강요와 위생 계획과 발전의 관련 규정에 포함시킴으로써 광범한 농촌에서 "화장실혁명"이 일어났다.
2014년 12월, 습근평은 강소를 고찰할 때 화장실문제를 잘 해결하는것은 농촌건설에 상징적의의가 있으며 지역의 구체적인 실정에 맞게 화장실 하수도관망 건설과 농촌오수처리를 잘하고 농민들의 생활수준을 부단히 제고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