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정협 격주협상좌담회 소집
“생산능력해소과정에서의 종업원 취업 재취업 문제 중시”와 관련해 건언헌책, 유정성 사회
2017년 07월 07일 13:34【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북경 7월 6일발 신화통신: 전국정협은 7월 6일 오후 북경에서 제70차 격주협상좌담회를 소집하고 “생산능력해소과정에서의 종업원 취업 재취업 문제 중시”와 관련해 건언헌책했다. 전국정협 주석 유정성이 회의를 사회함과 아울러 연설했다.
위원들은 다음과 같이 인정했다. 종업원 안치는 생산능력해소사업에서 가장 중요하다. 당중앙, 국무원의 깊은 중시와 각측의 공동노력으로 생산능력해소과정에서의 종업원 안치사업 진전이 평온하고도 질서적이지만 부분적 지역에서 일자리 창출이 어렵고 부분적 로동자들의 취업이 어려우며 부분적 기업의 관계처치가 어렵고 사업의 심층 추진이 어려운 등 애로사항과 문제점들도 존재하고있다.
일부 위원들은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생산능력해소과정에서의 종업원 취업과 재취업 사업을 잘함에 있어서 첫째, 기업을 주체로 지방에서 조직하고 법과 규정을 따르는것을 견지해야 한다. 생산능력해소를 통해 기업의 활력을 증가하고 기업의 리윤을 제고하여 종업원 안치를 위해 자금토대를 제공해야 한다. 각급 정부, 특히는 지방정부는 생산능력해소과정에서의 종업원안치문제에 깊은 중시를 돌리고 지방정부의 책임을 명확히하며 한기업, 한기업씩 연구하고 법과 규정에 따라 실제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둘째, 취업과 재취업 경로를 널리 개척해야 한다. 정부, 기업, 개인 재취업 플랫폼을 적극 마련하고 장기효과기제를 구축해야 한다. 기업종업원들이 관념을 전환시켜 령활하게 취업하도록 인도해야 한다. 재취업 양성훈련에 대한 지지강도를 늘이고 중소기업, 신형봉사기업, 공익성 일터를 재취업의 중요경로로 삼아야 한다. 자원고갈형 도시, 독립적인 공장광산구역 등 중점지역에 대하여 특수정책을 출범해야 한다. 셋째, 종업원 안치자금을 잘 활용해야 한다. 자금은 마땅히 우선적으로 종업원 안치의 수요를 만족시키고 사법동결을 피해야 한다. 생산능력해소 민영기업에 대한 도움과 부축을 적당히 고려해야 한다. 넷째, 사회보험정책을 개진해야 한다. 질병장애, 상이종업원 안치사업에 중시를 돌려 관련 사회보험정책을 보완해야 한다. 재취업, 특히는 격지재취업 후 보험가입과 보험료납부, 사회보험관계의 이전접속 등 사업을 잘해야 한다. 다섯째, 종업원의 민주권익을 보장해야 한다. 기업들이 생산능력해소과정에서 엄격히 법에 의해 민주절차를 리행하도록 독촉하고 종업원 대표대회를 통해 종업원 안치방안을 토론통과시켜 종업원의 지정권, 참여권, 표달권, 감독권을 절실히 수호해야 한다.